Humanizing352 모든 인간은 똑같이 지적이다. 때로 대학 내에서는 연구와 교육의 결합이 폐지에 대해 다소 논란이 있다. 학생들이 일을 감당할 수 없으며, 최고의 연구자들은 적어도 교육에서 면제되어야 한다는 등의 말이 있다. 나는 그것이 전혀 바람직 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에 의해 제기되는 어떠한 질문도 흥미로울 수 있고, 심화된 성찰로 이어질 수 있다. 나는 학생들에 대해 낮게 평가하는 것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근본적으로 모든 인간이 어쨌든 똑같이 지적이라고 믿는다.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더 똑똑하다는 생각은 옳지 않다. 지성은 변화하는 세계에서 우리의 행위를 다양화하는 가능성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언어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로서 우리는 우리 행위의 이러한 거대한 조형성을 필요로하며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행위의 조정의 조.. 2008. 8. 15. 교육과 사랑 아이들이 학교에서 수학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수학 교사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배운다. 아마도 아이들은 언젠가 이 즐겁고 흥겨운 종류의 '더불어 있음'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수학 교사가 되거나 그 자신이 수학자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사들은 어떤 내용을 단순히 전달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학생들에게 어떤 삶의 방식을 접하게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산수의 규칙들, 물리학의 법칙들, 또는 언어의 문법 등이 습득될 것이다. 내 주장은 이렇다. '학생은 교사를 배운다.' 협력을 고의로 거부하는 듯이 보이는, 이른바 문제 학생은, 눈에 띄고 받아들여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일 뿐이다. 세상이 온통 이들에게 계산될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강한 요구에 자신을 맞추도록 예상하고 있는.. 2008. 8. 15. [EBS 다큐프라임] 공부의 왕도, 요악정리 1부 - 냉엄한 인지의 세계 : 자신만의 체계화 구조화 습관을 가져라. : 반복하라. : 아는 만큼 이해된다. 인지의 빈익빈부익부. 2부 - 정서가 학습을 지속시킨다 : 자신감, 긍정적인 마인드, 신뢰, 적절한 자기 보상이 필요하다. 3부 - 공부를 잘 할 수 있다 : 계획표를 구체적으로 짠다 : 자신의 장단점을 잘 파악한다 :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2008. 8. 13. 사랑 다른 사람들을 통제하고 결정한다는 생각을 버려라. 그러나 당신이 무엇을 하건 그것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선언하라. … 자기들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할 수 없다고 깨닫게 된 사람들은, 자기들의 행위들이 갖는 성질이 그들의 지혜의 범위에 달려 있다는 것 역시 깨닫게 된다. 치료사들의 지혜란, 편견 없이 경청할 수 있는, 그리고 ‘개방성과 무간섭’의 태도를 보여줄 수 있는 그들의 능력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따라서 관계 속에서 자기를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것은 편견과 개인적 편애, 기만술, 소유욕에 의해 왜곡되지 않게, 그것이 드러나는 형태 속에서야 지각될 수 있다. 이것을 해내기 위해서 우리는 최대한 경청해야 하며, 우리의 지각이 성급한 판단 때문에 맹목적으로 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또.. 2008. 8. 10.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