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izing352 악행과 종교의 상관관계 종교는 인간의 존엄성을 모독한다. 그것이 있든 없든, 선한 사람은 선행을 하고 나쁜 사람은 악행을 한다. 하지만 선한 사람이 악행을 한다면 그것은 종교 때문이다. - Steven Weinberg 사람은 종교적 확신을 가졌을 때 가장 철저하고 자발적으로 악행을 저지른다. - Pascal 정치는 수 많은 목숨을 앗아갔지만 종교는 그보다 열 배는 많은 목숨을 앗아갔다. - 숀 오케이시 리처드 도킨스, 7장 2008. 7. 5. 이원론적 성향과 목적론적 성향의 선천성 인간의 인지 시스템은 세계를 목적론적으로 바라보도록 진화해 왔다. 인간의 생각이나 언어에 이것이 잘 드러나 있다. '뾰족한 바위는 등을 긁기 위해 있고' '닭은 사람을 깨우기 위해 아침마다 운다' 동시에 이원론적으로 바라보도록 진화해 왔다. 이원론자는 물질과 마음이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본다. 반면 일원론자는 마음이 물질의 한 표현이며 물질과 따로 존재할 수 없다고 믿는다. 이원론자는 마음이 몸에 깃든, 일종의 육신 없는 영혼이므로 몸을 떠나 다른 곳에 존재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원론자는 정신병을 '악령에 사로집한 것이며, 따라서 쫓아 낼 수 있는 영혼'이라고 쉽게 해석한다. 이원론자는 틈만 나면 생명이 없는 물리적 대상을 의인화한다. 몸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 죽어도 영혼은 남는다. 이 컴퓨터가 미쳤나.. 2008. 6. 29. 사회적 진화의 부산물로서의 종교 인간이 사회를 이루고 문화라는 것을 가꾸어 온 것과 사회문화적 행동의 하나인 언어를 구가하는 것은 진화의 산물이다. 그런 와중에 인간의 유아는 다음과 같은 인지적 특성을 가지는 방향으로 진화되었다. 즉 자신을 보호하는 집단의 권위에 순응하며, 한 번 믿으면 완고하게 믿는다. 그편이 아이와 사회의 존속에 유리하다. 또한 세계를 목적론적이며 이원론적으로 이해한다. 그것이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줄여준다. 가령 호랑이를 만나면 호랑이가 나를 적대시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호랑이는 '적의'를 품지 않는다. '밤에 손톱을 깎지 말아라' (과거 전등이 없을 때는 잘못하면 손을 다치니까) 등처럼, 아이를 보호하는 집단의 권위에는 옳은 것도 있지만, '밤에 손톱을 깎지 말아라, 손톱에 귀신이 들어서 귀신한테 홀.. 2008. 6. 29. 무지개 / 워즈워스 무지개 하늘 무지개를 바라보면 내 마음이 뛴다 내 생의 첫순간부터 그러하였고 어른인 지금도 그러하거늘 늙어서도 그러하리라 그렇지 못할진댄 내게 죽음을 허하소서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 바라건데 나의 나날들이 타고난 경건함으로 계속되기를. Rainbow /William Wordsworth My heart leaps up when I beloved A rainbow in the sky So was it when my life began So be it now I'm a man So be it when I shall grow old, Or let me die. The child is father of the Man And I wish my days to be Bound each to each by natural .. 2008. 6. 28.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