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404

Nature 기사 번역 /은유의 사용에 대한 경고 http://www.nature.com/news/2011/110223/full/news.2011.115.html?s=news_rss A metaphor too far 너무 간 은유 Philip Ball asks whether scientists are addicted to rhetorical imagery at the cost of misleading the public and themselves. Philip Ball이 과학자들에게 묻길, 대중과 과학자 자신들을 오도하면서까지 수사적 이미지에 중독된 채로 있을 것인가? Philip Ball Metaphors influence the way we think. In a paper in PLoS ONE this year, Paul Thibodeau and .. 2011. 2. 27.
언어변화의 유형과 원인 2010년 2학기 국어사 강의를 하면서 정리했던 언어변화 유형과 원인 개관입니다.선행 연구들에서 언급된 내용들을 제가 나름 체계화해 본 것입니다. 출처는 달지 않았으니, 필요한 분은 덧글로 문의하시길. 언어변화의 유형과 원인 Ⅰ. 언어 내적 변화 1. 형태(form, sound) 변화 원인: 조음상의 편이 (최소 노력의 원리)/ 청취상의 오류 유형: 동화/약화/탈락/융합 2. 용법(usage) 및 의미(meaning, function) 변화의 원인 원인1: 특정 맥락에서 실현되던 의미가 탈맥락화하여 일반화 원인2: 특정 맥락에서만 사용되어 의미가 고정됨 원인3: 화용론적 추론의 경향 원인4: 주관화(subjectfication) 유형1: 타락(pejoration)/개선(amelioration) 유형2: .. 2011. 2. 20.
대우법어미연구- 화계중심 vs 형식중심 화계는 어미라는 형식이, 청자 높임이라는 개념 영역을 어떻게 분할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화계의 변천에 대한 연구는 그 분할이 어떻게 변했는가 하는 연구이다. 이는 낱말밭 연구와 동일한 것이다. 다만 연구 대상이 어휘가 아니라, 기능 단위인 어미라는 차이가 있다. 낱말밭 연구는 어떤 개념 영역을 어떤 어휘들이 분할하는가에 대한 연구로 훔볼트 이래로 독일언어학의 중요한 방법론이다. (국내에서는 한때 인기가 있었으나 촘스키 언어학이 들어오면서 곧 시들해지고, 배해수 교수가 외로이 이 방법론에 입각해 정년할 때까지 연구해 왔다.) 이를 onomasiology라고 한다. 언어를 연구함에 있어 개념을 중심으로 대응되는 형식을 살피는 방법이다. 반대의 방법론을 semasiology라고 한다.예상되는 대로, 형.. 2010. 12. 7.
형식이 기능을 제한하는 현상 - 장르형성의 일면 학위 논문을 쓰면서 한글 창제 이후의 언간(한글간찰)들을 시대순으로 살펴보았다. 언간이라는 장르는 한글의 존재를 전제하므로, 그 시기를 최고 15세기 후반으로 올릴 수 있다. 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언간 자료는 이응태묘 출토 언간이나 순천김씨언간 등 16세기 중반의 자료들이다. 다음으로 17세기 초부터 중반까지 집안 언간이 모여 있는 현풍곽씨 언간, 그리고 선조와 인조 시대의 왕실 언간 등을 주요한 대규모 언간 자료로 꼽을만하다. 자세한 국어학적인 내용을 이야기하려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는 형식이 어떻게 기능을 가두고, 역기능(?)을 하게 되는지 이야기하려고 한다. 처음, 한글이 창제된 직후의 한글 편지는 그 형식에서 자유분방하다. 순처김씨, 현풍곽씨 언간에 와서도 앞머리에 수신인, 끝에 발신인 정도.. 2010.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