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

Nature 기사 번역 /은유의 사용에 대한 경고

by 앎의나무 2011. 2. 27.
http://www.nature.com/news/2011/110223/full/news.2011.115.html?s=news_rss

A metaphor too far
너무 간 은유

Philip Ball asks whether scientists are addicted to rhetorical imagery at the cost of misleading the public and themselves.
Philip Ball이 과학자들에게 묻길, 대중과 과학자 자신들을 오도하면서까지 수사적 이미지에 중독된 채로 있을 것인가?

Philip Ball

Metaphors influence the way we think. In a paper in PLoS ONE this year, Paul Thibodeau and Lera Boroditsky, psychologists at Stanford University in California, show that people approve of differing responses to crime when it is presented as either a 'beast' or a 'virus' ravaging society[1]. In the former case they are most likely to call for strong law enforcement, whereas in the latter they are more open to solutions such as rehabilit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root causes.
은유는 우리의 사고 방식에 영향을 준다. 올해 PLoS ONE의 한 논문에서 캘리포니아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자 Paul Thibodeau와  Lera Boroditsky는 범죄가 '야수'의 사회 파괴로 제시되는지 아니면 '세균'의 사회 파괴로 제시되는지에 따라 범죄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 달라짐을 입증했다. 전자[야수의 사회 파괴]의 경우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강력한 법 집행을 요구하는 반면, 후자의 경우 사람들은 갱생이나 근본적 원인의 이해 같은 해결책에 보다 개방적이었다.

Perhaps the most striking aspect of this study is that the participants were unaware of the how the metaphorical context affected their reasoning. Instead of acknowledging the image's effect, they found ways to rationalize their decisions on the basis of seemingly objective information such as statistics. "Far from being mere rhetorical flourishes," say Thibodeau and Boroditsky, "metaphors have profound influences on how we conceptualize and act with respect to important societal issues."
이 연구의 가장 놀라운 측면은 은유적 문맥이 실험 참여자들의 추론에 영향을 준 방식/과정에 대해 실험 참여자들이 인식하지 못했다는 점일 터이다. 피험자들은 이미지의 효과를 인정하지 않고, 통계치 같은 외견상 객관적으로 보이는 정보에 기초해 자신의 결정을 합리화하는 방법을 찾았다. Paul Thibodeau와 Lera Boroditsky는 "은유는 단순한 수사적 장식과는 거리가 멀고,  중요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반응하고 개념화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고 말한다.


To have this demonstrated and quantified is valuable — not least because it underlines something that politicians and their advisers have never doubted. If there is a spin doctor or speechwriter who does not already recognize that metaphors sway opinion, it is a mystery how they ever got the job.
이런 사실이 입증되고 정량화된 것이 유의미함은, 은유가 정치인과 조력자들이 결코 의심하지 않은 그 무엇인가의 기초가 되기 때문만은 아니다. 척추의(a spine doctor)와 연설문 작성자가가 은유의 힘(은유가 의견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진작에 인식하지 못했다면 그 직업을 어떻게 얻었겠는가? [조크인 듯]


It isn't hard to see why 'crime as wild beast of prey' encourages people to think about how to cage or kill it, whereas 'crime as virus' fosters more eagerness for 'scientific' understanding of causes. But too rarely are such metaphors interrogated at a deeper level.
사람들은 '먹잇감을 노리는 야수로서의 범죄'를 접하여 그것을 ‘가두고’ ‘죽이려’는 쪽으로 생각하게 되는 반면, '세균으로서의 범죄'를 접하여는 그 원인에 대한 과학적 해명에 보다 목말라하게 되는데, 그 이유를 알기는 어렵지 않다. 하지만 은유가 보다 깊은 수준의 의문을 품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In both these cases, crime is presented as a (malevolent) force of nature, outside human agency. Whether beast or virus, the criminal is not like us — is not human. By the same token, a 'war on drugs' or a 'war on terror' is not just an emotive image, but deploys a narrative of struggle against a faceless enemy that bears little relation to reality.
두 경우 모두, 범죄는 인간 행위 밖의, 자연의 (악날한) 힘으로 제시된다. 야수로 되든 세균으로 되든, 그 범죄는 우리와 다른 존재이다. 즉 그 범죄는 인간의 짓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마약에 대한 전쟁', '테러에 대한 전쟁'은 단순한 감상적 이미지가 아니다. 그것은 현실과는 동떨어진 얼굴 없는 적에 대항하는 투쟁에 관한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Misleading mentality
오도되는 정신

In literature, metaphor serves poetic ends; in politics, it is a (subtly manipulative) argument by analogy. But in science, metaphor is widely considered an essential tool for understanding. So where then does this latest work leave us?
문학에서의 은유는 시적(poetic) 목적에 소용된다. 정치에서 은유는 유비추론에 의해 이루어지는 (미묘하게 조작적인) 논증이다. 그런데 과학에서는 은유가 이해의 핵심 도구로 여겨지는 것이 보통이다. 자 그럼 이 마지막 역할의 결과로 우리가 다다르게 되는 곳은 어디일까?

Whereas the example of crime used here imputes natural agency to human actions, science generally invokes metaphors the other way around: natural processes are described as if they result from intention. This anthropomorphizing tendency was dubbed the 'pathetic fallacy' by the nineteenth-century critic John Ruskin, although it had also been noted by the scientist and philosopher Francis Bacon, two centuries earlier.
위에서 이용한 범죄의 예들이 자연의 작용을 인간 행위에 투사한 것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과학은 반대 방식으로 은유를 떠오르게 한다: 자연적 절차가 의도에 의한 것인 양 기술된다. 이러한 의인화의 경향은 19세기 비평가 John Ruskin에게 'pathetic fallacy 감상의 허위'라는 오명을 얻었다. (비록 이 점에 대해 이미 두 세기 전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Francis Bacon이 언급했지만)

(Which one is more like crime? Photos 12 / Alamy, MEDICAL RF.COM/SPL)
[그림]

The pathetic fallacy is an ingrained and profoundly influential habit, especially in biology[2–6], where intimations of intelligent agency seem irresistible even to those who deplore them. Most famous in this respect is the 'selfish gene' proposed by biologist Richard Dawkins in his 1976 book of that title. Dawkins' metaphor is apt and understandable almost to the point of inevitability, given the idea that he strove to convey. But its problems go well beyond the fact that genes are of course not selfish in the way that people are (which is to say, they are not selfish at all).
'감상의 허위'는, 특히 생물학에서 깊고 근본적으로 영향을 발휘하곤 한다. 생물학에서는 지적인 행위자에 대한 암시가, 이러한 암시를 한탄하는 이들에게조차 불가피한 듯하다.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1976년 Richard Dawkins의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에 소개된 '이기적 유전자'이다. 그가 전달하고자 애썼던 개념을 생각하면, 그의 은유는 불가피함의 정도에 있어 적절하고 이해할 만하다. 그렇지만 문제는 당연히 유전자가 '사람들처럼' 이기적인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있다. (즉 유전자는 전혀 이기적이지 않다.)

The 'selfish gene' props up the whole notion of a Darwinian world that is uncaring to the point of being positively nasty: an image that has sometimes provoked resistance to the sciences in general and natural selection in particular. And as Denis Noble, a physiologist at the University of Oxford, UK, has compellingly argued, the idea that genes are selfish is totally unnecessary to an understanding of how they work, and is in some ways misleading[7].
'이기적 유전자'는, 명백히 최악의 수준이 되기까지는 냉담함을 유지하는 다윈주의 세계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이 이미지가 종종 과학 일반이나, 특히 자연 선택에 대한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영국 옥스포드 대학의 생리학자 Denis Noble이 진지하게 주장하듯, 유전자가 이기적이라는 생각은 유전자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전혀 불필요하고, 되려 다소 오해를 이끈다.

But it is no better to talk instead of the 'cooperative gene', which is equally value-laden and misinformative. Genes are not selfish or cooperative any more than they are happy or short-tempered. The concept of scientific metaphor in general is problematic[8],[9].
그렇다고 그 대신 ‘협업적 유전자’를 이야기해서 좋을 것도 없다. ‘협업적 유전자’도 똑같이 유의미한 동시에 잘못된 정보를 담고 있다. 유전자들은 그들이 행복하거나 성격이 급한 것 이상으로는 이기적이거나 협업적이지 않다. 일반적으로 과학적 은유라는 개념은 문제적이다.

On guard
변론

Books of life, junk DNA, DNA barcodes: all these images can and have distorted the picture, not least because scientists themselves sometimes forget that they are metaphors. And when the science moves on — when we discover that the genome is nothing like a book or blueprint — the metaphors tend, nonetheless, to stick. The more vivid the image, the more dangerously seductive and resistant to change it is.
생명의 책, 정크 DNA, DNA 바코드: 이런 이미지들은 전체적 그림을 왜곡해 왔고 앞으로도 그러겠지만, 최소한 과학자들이 이런 은유를 망각하기 때문은 아니다. 그런데 과학이 한 걸음 나아갈 때에도 ㅡ 게놈이 책이나 청사진과는 전혀 다르다는 것이 발견되어도 ㅡ 이 은유들은 고수되는 경향이 있다. 은유는 그 이미지가 선명할수록 더 위협적으로 고착하고 변화에 저항한다.

Thibodeau and Boroditsky give us new cause to be wary, for they show how unconsciously metaphors colour our reasoning. This seems likely to be as true in science — especially a science as emotive as genetics — as it is in social and political discourse.
Thibodeau와 Boroditsky는 새로운 근심거리를 주는데, 바로 은유가 우리의 추론에 얼마나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힌 것이다. 사회적 담화나 정치적 담화만큼이나 은유의 그러한 무의식적 영향력의 어마함은 과학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유전학같이 검성적인 분야에서는.

ADVERTISEMENT
주장

Most scientists would probably agree with Robert Root-Bernstein, a physiologist at Michigan State University in East Lansing, that "metaphors are essential to doing and teaching science"[10]. They might also sympathize with Paul Hebert, a biologist at the University of Guelph in Canada, who responded to criticisms of his 'DNA barcoding' metaphor[11] by asking, "Why would we want to be so scientifically proper as to make our science tedious?"[3]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미시간 주립대 심리학자 Robert Root-Bernstein의 다음 언급에 동의할 것이다. “은유는 과학을 하고 가르치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또한 캐나다 Guelph 대학 생물학자인 Paul Herbert에게도 동감할 것이다. 그는 자신의 ‘DNA 바코딩’ 은유에 대한 비판에 대해 “왜 그렇게 과학적으로 정확하기를 고집해서 과학을 시사하고 지루한 것으로 만들려는가?” 라며 대응했다.

But the need for metaphor in science stands at risk of becoming dogma. Maybe we are too eager to find a neat metaphor rather than just explain what is going on as clearly and honestly as we can. We might want to recognize that concepts such as DNA are "a reality beyond metaphor", as Nobel laureate David Baltimore, a biologist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in Pasadena, has said[3]. At the very least, metaphor should be admitted into science only after strict examination. We ought to heed the warning of pioneering cyberneticists Arturo Rosenblueth and Norbert Wiener that "the price of metaphor is eternal vigilance"[12].
그러나 과학에서 은유에 대한 수요는, 은유의 교조성이라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여전하다. 어쩌면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분명하고 솔직하게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 것보다는 멋드러진 은유를 찾는 데 혈안이 되어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또 어쩌면 노벨상 수상자인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의 생물학자 David Baltimore가 언급했듯, 우리는 DNA 같은 개념이 “은유를 넘어 실제”라고 인식하고 싶어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엄정한 실험 후에만 최소한도로 과학에 은유가 도입되어야 한다. 우리는 사이버네틱스(인공두뇌학)의 개척자인 Arturo Rosenblueth와 Norbert Wiener의 다음과 같은 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은유의 대가는 영원한 경계심이다.”


References
[1] Thibodeau, P. H. & Boroditsky, L. PLoS ONE 6, e16782 (2011).
[2] Nelkin, D. Nature Rev. Genet. 2, 555-559 (2001).
[3] Nerlich, B. Elliott, R. & Larson, B. Communicating Biological Sciences (Ashgate, 2009).
[4] Nerlich, B. & Dingwall, R. in Cognitive Models in Language and Thought: Ideology, Metaphors and Meanings (eds Dirven, R., Frank, R. & Pütz, M.) 395-428 (Mouton de Gruyter, 2003).
[5] Kay, L. E. Who Wrote the Book of Lif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6] Keller, E. F. Refiguring Lif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7] Noble, D. The Music of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8] Lakoff, G. & Johnson, M. Metaphors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9] Brown, T. L. Making Truth: Metaphor in Scienc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3).
[10] Root-Bernstein, R. Am. Sci. 91, (2003).
[11] Hebert, P. D. N. , Cywinska, A. , Ball, S. L. & deWaard, J. R. Proc. R. Soc. B 270, 313-321 (2003).
[12] Lewontin, R. C. Science 291, 1263-1264 (2001).

'Lingu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원] 그저께  (0) 2011.03.13
Points of Speaking English  (0) 2011.03.09
언어변화의 유형과 원인  (3) 2011.02.20
형식이 기능을 제한하는 현상 - 장르형성의 일면  (2) 2010.12.07
Family Resemblance  (0) 201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