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izing352 오염된 신념 확증편향과 동기에 의한 추론 신념을 위협하는 증거를 배척하는 경향 균형감각을 상실한 사람들 - 어떤 것을 잘 살피려면 당연히 해당 주장의 양면을 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머릿속에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것이 아닌) 대안을 고려하기 위해 일부러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한, 우리는 자신이 받아들이는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 증거보다 그것과 일치하는 증거를 더 잘 떠올릴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는 정보를 가장 또렷이 기억하기 때문에, 우리의 신념이 아무리 잘못된 것일지라도 그것을 버리기가 매우 어렵다. (90p) ; 현실적인 감각을 지닌 사람이라면, 인간처럼 맥락 의존적인 기억을 지는 종에게 이런 오류는 늘 존재하는 위험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것이다. (91p) 지나치게 낙천적이고 부정.. 2009. 3. 19. 욕망의 경제학 욕망하는 것이 경제학의 시작이다. 재화를 욕망하는 것이 현재의 경제학이다. 슈마허는 불교 경제학을 이야기한 적이 있다. 간디는, 우리가 진정한 행복에 이르기 위해서 지금까지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을 욕망할 줄 알아야 된다고 하였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연대 안의 독립을 위한 자아의 성장에 대한 욕망 그것을 위한 경제학. 2009. 3. 11. usage of knowledge 네이버 metapsy님 블로그에서 발췌한 엘리 위젤의 글. 엘리 위젤(Eliezer Wiesel) 曰 내가 얻은 지식은 내 뇌 속에만 갇혀 있어서는 안 된다. 나는 그 지식을 많은 사람들에게서 빚지고 있는 것이며 나는 그 지식을 가지고 무엇인가 하여야 한다. 그들에 의해 나에게 주어진 지식을 내가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줌으로써, 다른 이들을 위하여 무언가를 함으로써) 갚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감사의 마음으로 ... 2009. 3. 7. 인생 유혹과 편견과 죄는 사랑의 씨앗이 자라 성장하도록 만드는 거름이다. 유혹과 편견과 죄가 이 세사엥 존재하지 않는다면 삶의 발전도 없을 것이다. 이것들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그것이 인생의 목적이다. 육체적인 죄의 근원은 육체에 있다. 유혹의 근원은 타인의 평가에 있다. [좋은 평가라는 유혹,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한 유혹] 편견의 근원은 거짓에 있다. 죄 때문에 받는 처벌보다는 죄에 익숙해지면서 서서히 영혼이 파멸하게 되는 것, 이것이 더 무거운 벌이다. 2009. 3. 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