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umanizing352

즐거움 토마스 아퀴나스가 인간을 머리와 손을 가진 존재로 정의했듯이, 우리는 누구나 자신의 손과 머리를 모두 사용해서 창조적이면서 유용하고, 또한 생산적이기도 한 일에 참여하는 데서 가장 큰 즐거움을 얻는다. 2006. 8. 21.
여기 이곳 당신과 함께 의 저자 헬레나도 스피노자나 마르크스나 프롬처럼내가 경험한 활기와 기쁨은, 삶의 즐거움이 여기 이곳에 당신과 함께,당신 '속'에 있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음이 거의 확실화였다.라고 말하고 있다. 2006. 8. 7.
자의식 지식In에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자의식(自意識, self-consciousness)이란 한마디로 그 자체를 느끼는 것입니다. 보통 인간의 사고나 행위는 어렸을 때에는 주로 부모님의 영향이 크지요. (음식을 꼭꼭 씹어먹어라, 불은 위험한거다 등등....) 조금 더 성장하게되면서 대중매체나 학교교육이 사고나 행위를 통제하는 힘이 강하게 되지요. 그런데 대체로 이 시기쯤에서 만의 생각과 행위를 보여주기 시작합니다. 는 도대체 뭔가?....(이것을 '자아'라고하지요), 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등등 처럼 끈임없이 자신만의 생각, 감정, 의지 등을 만들어 나가게 되는 것이지요. 이런한 것들을 보다 정리된 형태로, 지속적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자의식(自意識, self-cons.. 2006. 8. 6.
비행기 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난다 높은 곳에 선 느낌 까마득히 먼,자동차와 도로와 집들 점으로도 보이지 않는 인간들- 내 옆을 지나는 구름들 전율과 경이로 가슴이 벅차오른다, 그러나 항상 자기 중심적었던인간이여 오해하지는 말아야한다. 전율과 경이는 인간도 날 수 있고, 불가능한 일을 인간의 과학기술로 해냈다는 성취감때문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약함을, 자연의 위대함을 깨닫기 때문이다. 한낱 새도 이렇게 나는데 우리는 그 새를얼마나 멸시해 왔던가, 인간의 오만한 과학기술이 고작 새의 흉내를 낼 뿐이구나, 1만년 인간의 과학기술이 고작 며칠 만에만들어진 저 평화로운 구름에 속수무책이구나- ㅡ라는 깨달음에서 오는 전율과 경이임을 어찌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인가. 2006.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