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izing352 practice of love #2 - How does one practice ? How does one practice discipline? ... It is essential, however, that discipline should not be practiced like a rule imposed in oneself from the outside, but that it becomes an expression of one's own will; that it is felt as pleasant, and that one slowly accustoms oneself to a kind of behavior which one would eventually miss, if one stopped practicing it. It is one of the unfortunate aspects of .. 2008. 11. 2. The Practice of love #1 First of all, the practice of an art requires discipline. I shall never be good at anything if I do not do it in a disciplined way; anything I do only if "I am in the mood" may be a nice or amusing hobby, but I shall never become a master in that art. But the problem is not only that of discipline in the practice of the particular art but it is that of discipline in one's whole life. That concen.. 2008. 10. 31. 행복한 돼지 예전보다는 행복한 것이다, 자유를 찾기로 했으니. 자유를 삶에 펼쳐 내는 것... 그것이 고통스럽고 힘들 수는 있지만, 무력해져서는 안 된다. 자유를 펼치는 것에 있어서 무력감은 잔존하는 유아기적 전지전능,. 의존성 독럽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자유는 행복의 조건이다. 자유를 찾아 떠나기로 했을 때 그때부터 행복의 한 조건을 갖춘 사람이다. 세계를 대할 땐 존재의 본질로 대하며 마음에 두려움, 거리낌이 있는지 경계하며- 경쟁심은 의존성의 징후이다. 소유욕 때문에 경쟁심이 생기는 것이고 소유욕은 의존성을 강하게 만든다. 소유욕은 인간성을 성장하지 못하게 한다. 인정하고, 고마워하고,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걸 베풀며 존재의 본질로, 세계를 대하기를 2008. 10. 29. [가사] 언제라도 몇번이라도 /센과치히로ost 부르고 있는 마음의 어딘가 안에서 언제나 마음이 두근거리는 꿈을 꾸고 싶다 슬픔은 다 셀 수 없지만 그 너머에서 꼭 당신을 만날 수 있다 되풀이되는 실수를 할 때마다 사람은 그저 푸른 하늘의 푸름을 깨닫는다 끝없이 길은 계속되어 보이지만 이 양손은 빛을 안을 수 있다 헤어질 때의 고요한 마음 Zero가 되기 때문이지만 귀를 기울이고 들을 수 있다 살아있는 불가사의 죽어가는 불가사의 꽃도 바람도 거리도 모두 똑같아 부르고 있는 마음의 어딘가 안에서 언제나 몇 번이라도 꿈을 그리자 슬픔의 수를 다 말해 버리는 것보다 입맞춰 살짝 노래 부르자 닫혀 가는 추억의 그 안에서 언제나 잊고 싶지 않은 속삭임을 듣는다 산산조각으로 깨어진 거울 위에도 새로운 경치가 비춰진다 밝아오는 아침의 고요한 창 텅 비어버린 몸, .. 2008. 10. 2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