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umanizing352

시간에 대처하는 방식 미래 할인(time discounting), 시간 선호(time preference) 조삼모사의 원숭이나 개미와 베짱이의 베짱이 같은 행동 패턴을 일컫는 말. 전자는 심리학의 용어이고 후자는 경제학의 용어이다. 시간 선호는 '어떤 물건이나 서비스를 당장 받으려는 경향, 혹은 지금을 무시하고 미래에 지나치게 투자하는 경향' 미래의 불확실성은 지금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 변화인 현재보다 항상 크다. 때문에 사람들은 불확실성이 적은 쪽을 선택하는 현실 중시의 시간 선호를 보인다. 인간은 인지적 한계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정보를 다룰 수 없고, 이 때문에 의사결정 문제를 자신의 인지적 한계 내에서 조작할 수 있는 크기로 단순화한다. 그래서 눈 앞의 유혹에 넘어가기 쉽다. 자기 통제의 문제. 143ff. 2008. 11. 16.
[영화] Zeitgeist 후속작 우리는 연금술을 화학으로 발전시켰고 지구중심적 우주에서 태양중심적 우주로 발전했으며 질병의 원인을 마귀라고 생각하다가 현대 의학에 이르렀다. 이런 발전은 끝이 없다. 이것을 깨달으면 우리는 계속 성장하고 발전하는 길로 가게 된다. 정적인 경험적 지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가 깨달아야 하는 무상에 대한 인식이 존재한다. 이것은 현재 신념체제를 위협하여 우리 실체를 위협한다고 할지라도 우리가 새로운 정보에 항상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다. 슬프게도 오늘날 사회는 이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기성제도는 낡은 사회구조를 지키기 위해 성장을 막고 있다. 동시에 사람들은 변화의 두려움 때문에 고생한다. 정적인 실체만 생각하고, 신념체계에 도전하는 것을 모욕이나 위협으로 생각한다. 잘못으로 드러나는 것은 축.. 2008. 11. 12.
[진화하는 진화론] 읽기 시작 구입했다. 두근두근ㅡ 옮긴이의 말과, 목차와 서론을 읽는다. 관찰과 실험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날이 바로 내 장례식이 될 것이다. Fromm 아저씨의 가르침과 같구나. 성장을 포기하는 날이 바로 내 장례식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의 책 디자인은 언제나 적절하다. 2008. 11. 3.
합리적 신념_ 과학사의 예 The history of science is replete with instances of faith in reason and vision of truth. Copernicus, Kepler, Galileo, and Newton were all imbued with unshakable faith in reason. For this, Bruno was burned at the stake and Spinoza suffered excommunication. At every step from the conception of a rational vision to the formulation of a theory, faith is necessary: faith in the vision as a rationally.. 2008.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