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포스트에서
상보적 분포는 한 형태소의 이형태가 환경에 따라 달리 실현되는 것을 이르는 용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이론적인 이상일 뿐이다.
언어현실에서는 우리가 하나의 형태소로 묶는 이형태들이 상보적이지 않기도 하고
같은 형태소의 같은 형태들끼리 의미가 다르기도 하다.
가령 화자 겸양을 나타내는 '습'은
청자존대를 나타내는 '니'와 어울려 '습니'형으로 쓰일 때는
앞에오는 음에 따라 '습'와 '읍'의 이형태를 가지지만, (먹습니다, 합니다)
청유를 나타내는 '시'와 어울려 쓰일 때는
앞에오는 음에 상관없이 '읍'의 이형태만 가진다. (먹읍시다, 합시다)
[또, 과거 형태소의 이형태인 '었'은 과거를 나타내지 않기도 한다.
가령 '잘생겼네~'에서는 현재와 관련이 되고,
'나 금방 갔다 올테니까, 거기 잠깐 앉았어/안자써/' 같은 구어표현에서는
'앉아있어'라는 의미로 쓰인다. (아마 '었'이 기원적으로 지속상을 나타냈던 것의 영향인 듯)]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자겸양을 나타내어야 할 자리에는 '습'과 '읍'이 쓰이지 다른 것이 쓰이지는 않았다. 겹치기는 하여도 어쨌든 합은 전체의 경우를 망라할 수 있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런 경우를 상보적 분포(서로 보완해서 전체 이형태를 망라한다는 의미)로 부르고 기존의 철저한 겹치지 않는(교집합이 공집합인) 분포를 배타적 분포라고 나눠서 부르기도 한다.
상보적 분포의 이형태들이 나타나는 곳의 합집합은 전체 나타나는 곳을 포괄한다.
배타적 분포의 이형태들이 나타나는 곳의 합집합도 전체 나타나는 곳을 포괄한다.
하지만 전자에는 교집합이 존재하는 한편 후자는 교집합이 공집합니다.
[후자의 경우는 실제 구어 자료를 조사해 보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Lingu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언 채집 (0) | 2007.02.21 |
---|---|
보충법 (0) | 2007.02.12 |
상보적 분포 (0) | 2007.02.12 |
요약: 설득의 수단으로서의 은유(신선경) (0) | 2007.02.09 |
[본문스크랩] 토포스(topos) (0) | 200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