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

후기 중세국어 인칭대명사의 격형에 따른 성조변동

by 앎의나무 2006. 5. 10.

※ 15세기 어형은 작은 따옴표에, 현대의 의미는 중괄호에 나타냈다. 단 현대국어에 대응하는 어휘가 없는 경우 중괄호 안에 큰따옴표를 쳐 그 뜻을 풀이하였다. 읽었을 때 현대어와 어감이 많이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일 우측에 슬래시를 이용해 미국식 알파벳표기로 음가를 전사해 보았다.

※ 아래아나 반치음 순경음 등이 들어간 음절은 괄호를 사용해 그 안에 알파벳으로 적었다. 거의 예외 없이 순경음과 반치음(예외가 몇 있다)은 초성에서만 쓰였다.

→ 해당음절의중성자(중 하나인)ㅏ가 아래아임을 나타내기 위해 aa를,

→ 초성자 ㅅ이 반치음임을 나타내기 위해 z를,

→ 초성자 ㅂ이 순경음임을 나타내기 위해v를 사용하였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인칭대명사에 붙는 속격형태는 'ㅣ'로 주격형태와 동일하다.

보통 1음절인 대명사들에 속격이 실현되었을 때 성조는 평성이다.

반면 주격이 오면 거성(혹은 상성)으로 실현이 된다.

가령'나'의 속격인 '내', '너'의 속격인 '네', 재귀사 '저'의 속격인 '제'는 평성이다.

예외가 하나 있다

바로 인칭대명사의 미지 칭인 '누'.

속격인 '뉘'는 상성, 주격인 '뉘'는 거성으로 실현된다.

cf 1. 미지-부정의 지칭 대명사

미지칭

어느, 어듸{어디}, 므슥/므슴{무엇}, 현마/언마{얼마} 등이 있고,

부정칭

아모{아무} (+ 것/대(aa) 등)

cf 2.높임이 반영되는 대명사

너:그듸, 저:자갸

<표준 중세국어문법론(고영근)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