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cializing

펌글. 한겨례

by 앎의나무 2005. 12. 4.
[한겨레] “지금 외국 과학계는 한국이 이 문제를 어떻게 매듭짓는지 지켜보고 있다. 연구논문 조작 논란에 당당하게 대응해야 한다. 제3기관에서 DNA(디엔에이) 재검을 하든, 아니면 (줄기세포 관련 핵이식) 시연을 하든 빨리 실시하는 게 필요하다.”

지난 2일 오후(현지시각) 미 피츠버그대 의대에서 만난 이형기 교수(42·임상약리학)는 황우석 교수 파문을 수습하려면 “황 교수 본인이 나서야 한다. 이미 기술을 갖고 있으므로 그걸(논문 조작이 아니라는 걸) 입증하는 건 어려운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1년4개월간 객원 의학자료심의요원과 연구원으로 일한 경력을 갖고 있다.

국내에선 학술지 <사이언스>가 공인한 논문을 왜 비전문가인 PD(피디)수첩팀이 문제 삼느냐는 분위기가 강하다.

=그건 <사이언스>의 논문심사 과정을 몰라서 하는 얘기다. <사이언스>는 직접 실험을 하진 않는다. 기본적으로 연구자가 낸 자료를 믿고 거기에 근거해서 논리적 결점이 없는지를 판단한다. 추가실험이나 자료를 요구하지만, 제출자료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건 아니다. 국민 감정은 이해한다. 그러나 ‘황 교수가 어려움에 처했으니 우리가 지원해줘야 한다’는 생각만으론 이 파문을 극복할 수 없다.

황 교수 파문을 지켜보면서 어떤 생각이 드나. 미국과 비교한다면 어떤 점이 다른가.

=미국은 상호견제와 감시 기능이 작동한다. 미국에서도 간혹 과학자의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곤 하지만, 대개 언론의 문제제기 전에 연구팀이나 소속 학교, 다른 재단들이 나서서 자발적으로 조사를 하고 검증을 한다. 또 미국은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법규가 잘 갖춰져 있다. 그에 비하면 한국 과학계엔 마치 서로 비판을 않으려는 암묵적인 카르텔이 있는 게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든다.

연구윤리 문제에서 한국이 허술하다는 얘기인가?

=가령 (황 교수와 결별선언을 한) 제럴드 섀튼 피츠버그대 교수는 10여년 전 위스콘신대학에서 난자 불법매매 혐의로 수사를 받은 적이 있다. 그는 혐의를 벗었지만, 그때 핵심 연구자는 구속까지 됐다. 섀튼 교수나 피츠버그대학이 황 교수 사건에 극히 민감하게 나오는 데엔 이런 측면이 작용하고 있다.

이번 사태의 파장은?

=<네이처>가 처음 (난자 입수경위에 관한) 의문을 제기했을 때 황 교수가 문제점을 인정하고 우리 현실을 설명했다면 쉽게 넘어갈 수 있었을 것이다. 외국학계는 신뢰성을 중요시한다. 이젠 적지 않은 상처를 피할 수 없다. 피츠버그(펜실베이니아)/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 온라인미디어의 새로운 시작. 인터넷한겨레가 바꿔갑니다. >>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