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

상보적 분포

by 앎의나무 2004. 9. 10.

β. 상보적분포의 개념 (음운/형태/의미론적으로)

상보적분포란 말은 서구문법의 ‘compensatory distribution’ 이라는 용어의 대응어이다. 이 개념은 구조주의 시대에 음운론에서 확립되어 이후 형태론 및 다른 분야에까지 확장되었다. 먼저 음운론에서 상보적분포라는 개념을 어떤 원리로 쓰고 있는지 확인한 다음 이 개념이 형태론과 의미론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살표보자.

음운론에서 상보적분포를 보이는 음은 같은 음소의 변이듬들이라 여겨진다. 왜냐하면, 음소는 de Courtnay가 지적했듯이 ‘의미를 변별시켜주는’ 소리이다. 이 말은 뒤집어 보면, 의미를 변별시키지 못하는 소리는 ‘음소’가 아니라는 말이 된다. 그러니까, 음성학적으로 서로 다른 소리라도 의미변별을 하지 못하면 음소로 설정될 수 없고 어떤 음의 변이음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어떤 음이 변별적이려면 같은 환경에서 다른 음과 비교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음성학적으로 서로 다른 소리가 같은 환경에서는 절대 안 나타난다면, 즉 상보적분포를 보인다면, 음소로서 독립된 개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관찰의 결과를 귀납적으로 이야기하면, ‘상보적분포’를 보이는 음들은 한 음소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형으로 실현되는 경우를 일컫게 되었다. 그런데 h와 ŋ이 상보적분포를 보이는 문제가 등장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Jones 경이 음성적 유사성이라는 기준을 들기는 했지만 완전하지 못한 기준이었다. 이런 문제가 있지만, ‘상보적분포’라는 개념은 어떤 차원에서 한 요소가 맥락이 달라짐에 따라 변별적이지는 않으나 다른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언어의 중요한 특징을 파악해냈다. 이 개념이 언어보편적이라는 점은, 이 개념이 형태론과 의미론에까지 확장돼 쓰일 수 있다는 것으로 증명이 된다.

형태론에서도 상보적분포가 나타난다. 즉 형태소가 맥락(조건)에 따라 다양한 이형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닮-’이라는 형태소는 뒤에 모음이 올 경우에 /닮/으로 실현되지만, 뒤에 자음이 올 경우 /담/으로 실현된다. 이렇게 음운론적인 조건에 따라 이형태가 출현하기도 하고, 주격조사의 형태들은 음운론적인 조건뿐만아니라, 의미론적인 조건으로도 이형태를 출현시킨다. 가령 /이/와 /가/의 교체는 음운론적인 조건에 기인하지만, /께서/는 의미론적인 조건에 의해 존경의 대상에만 붙는다.

의미론에서도 의미소가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이의미들을 갖게 된다. 가령 ‘가시’라는 단어의 의미는 본래 생선의 ‘가시’의 의미지만, 문맥에 따라 장미나 아카시아 나무의 줄기에 존재하는 뽀족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고슴도치의 살을 덮고 있는 가늘고 딱딱한 털로 해석되기도 하고, 살에 박힌 작고 가는 나무 조각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심하게는 말하는 이의 공격적인 태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물론 이 분포는 상보적이다. 바보가 아닌 이상 누구도 공격적인 태도의 말에 ‘가시’가 있다고 해서 그 ‘가시’를 생선의 가시로 해석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