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eller8

학문의 대상으로서 언어의 위상에 대한 단상 김현주(2006) "학문의 대상으로서 언어의 위상에 대한 단상" 22.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편집위원회. 학문의 대상으로서 언어의 위상에 대한 斷想 김현주(국어학반) 언어는 인간과 독립된 유기체인가, 아니면 인간이 만들어낸 것인가. 언어는 자연과학의 대상인가 인문과학의 대상인가. 공시와 통시는 무엇인가. 그것은 언어의 속성인가 언어를 보는 이론인가. 1. 들어가며 어떤 대상을 학문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기껏 우리는 어떤 대상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학문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이러한 체계적인 지식을 찾는 작업을 학문적인 연구라고 부를 수 있을 뿐이다. 학문이 무엇인지, 학문적인 연구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변이 이렇게 추상적일 수밖에 없는 것은, 우리가 아는 학문의 각 분야들에.. 2008. 3. 4.
구조의 창발 어떤 시점에서나 어떤 언어에는 내적구조가 존재한다. 하지만 그 내적구조는 개개의 인간이 계획해 온 바가 아니다. 아래의 어느 포스트에서 이미 언급했다시피, 언어는 시간에 따라 생노병사의 한살이를 갖는 하나의 유기체가 아니다. 언어를 유기체인 양 보는 것은 언어가 보이는 어떤 현상들이 생명체의 한살이와 유사한 면이 보이기 때문일 뿐이다. 또한 그렇다고 언어가 인간이 의자나 책상을 만들 듯이 계획적으로 어떤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도 아니다. (명태조, 세종, 북한의 언어 개혁 등을 언어공학이라고 한다. 역사상 한번도 언어공학이 성공적이었던 적은 없다. - 물론 전혀 효과가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특성은 사회적인 존재에서 흔히 발견된다. 꿀벌을 통한 만데빌의 역설과, 만데빌의 역설에서부터 발달한 스코.. 2008. 3. 4.
언어는 도구인가 (keller) 의미론 공부 모임, 2007년 5월 25일, 쟝요약정리텍스트 : Rudi Keller(Rules and tools, form his homepage)(이 글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학 전공의 의미론 세미나에서 본인이 요약정리했던 글임을 밝혀 둡니다.) 1 사회는 언어를 구성하는 규칙에 관계하는 상호의존적 지식을 가지고 있다.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구성하는 규칙에 대한 상호의존적 지식에 참여해야 한다. 이 규칙들은 계속되는 흐름 속에 있다; 새로운 것이 생겨나고 오래된 것은 구태의연해진다. 이것이 언어변화이다.이어지는 진술을 통해 나는 언어적 기호가, 크게는 언어 전체가 은유적 의미가 아닌 실제적인 의미에서 ‘도구’(tool)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단어나 언어가 도구인지 묻는 것은 규칙들이 도구.. 2007. 5. 25.
언어는 제 3의 현상이다. 의미론 공부 모임, 2007년 5월 11일, 쟝요약정리텍스트 : Rudi Keller(2004년 7월 15일자 전자논문) (form his homepage)(이 글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학 전공의 의미론 세미나에서 본인이 요약정리했던 글임을 밝혀 둡니다.) The Natural Language : An example of spontaneous order and its sociocultural evolution (Rudi Keller 저) 1 서언2 발달에 대한 이론들3 자연과 문화에 생기는 우연한 질서들 4 자연 언어 : 우연한 질서의 진화 1 서언19세기 학문의 발발 동기는 발달과 진화라는 현상이었다. 태초의 세계는 18·9세기 당시와 달랐다는 발견은 학자들에게 발달의 비밀을 탐구하게 만들었다. 사회.. 2007.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