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운론3

음성학과 음운론 음성학이든 음운론이든 둘 모두 인간의 말소리에 대한 학문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그 태도나 목표에 있어 둘은 차이를 보인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비유적으로 말해 '의미전달이라는 기능'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의미'가 '전달'된다는 것은 분명히 비유이다. 이에 대해선 마뚜라나와 바렐라의 를 참조하길) 의미를 담고 있는 언어학적 최소단위는 물론 형태이다. 그렇다고 음운이 의미의 적절하고 올바른 전달에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니다. 형태 이상의 단위처럼 직접적으로 의미와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음소는 자신이 의미의 변별이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의미전달에 참여한다. 이런 특징에 대해 Roman Jakobson은 음성이 의미전달에 무관한 반면 음소는 의미전달에 대해 negative하게 기능하고 있다고.. 2008. 3. 3.
음운 변화에 보이는 인지의 역할 이 글은 고려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의 음운론 세미나 팀에서 공부한 논문입니다.발제는 본인이 했습니다.10월 18일,각주 및 해석 쟝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ognition in phonological change1) by Stig Eliasson 1. Parsing and categorization in phonological change [음운 변화에서 파아씽과 범주화] 역사적인 음운 변화에서 인지의 역할은 그다지 널리 연구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잘 알려진 음운 변화의 몇 유형이 인지의 관점에서 어떻게 다르고, 어떤 인지적 과정이 음운 규칙과 표상의 변화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것인지에 대해 ‘인지적 언어능력의 모델’로 논의할 .. 2006. 10. 22.
동시조음은 어디에 있는가? 아래 글은 고대 국문과 대학원 음운론연구모임에서 공부하는책인Papers in Laboratory Phonology V의 7장을 본인이 발제한 것입니다.그림, 표, 피인용된 논문의 자세한 사항들은 생략한다.요약 : 음운은 물론 변이음 수준의 소리형들까지도 음향적으로 어휘부에 표상된다. 음향적인 경험이 표상되는 뇌의 위치는 측두엽 부근이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음운론 공부모임, 2006년 9월Commentary: Where is coarticulation?by John Coleman, in Papers in Laboratory Pholonogy, V.번역, 각주 쟝 >더보기 >접기 1부의 논.. 2006.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