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화7

'그러니까'의 두 가지 의미의 발달 '그러니까'는 2006년 현재,최소 두 가지 다른 용법을 가지고 있다.하나는 '그러니까' 앞뒤의 문장이 나타내는 상황이 논리 진행 상선후 혹은 인과관계에 있음을 밝혀주는 용법이다. 이 경우 [그러므로]와 의미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그 때 나는 집에 없었어. 그러니까 화분에 물을 줄 수 없었지"다른 하나는 '그러니까' 뒤의 문장이 나타내는 바가, 앞의 문장을 통해 화자가 의도하는 바와 같음을 밝혀주면서, 다르게 (흔히는 더 쉽게) 다시 설명하는 것임을 밝혀주는 용법이다. 이 경우 [곧, 즉, 다시말해]와 의미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열역학 제 2 법칙에 따르면 선풍기를 트는 것은 결코 더위를 피하는 방법이 되지 않지. 그러니까 (내 말은)바람을 일으켜 피부의 땀을 증발시키면서 체온을 낮추어도, 선.. 2006. 8. 13.
Grammaticalization 이론에 대한 부정 문법화 현상을 부정하는가?본질적으로 문법화는 기능주의 ㅡ 곧 언어와 그 사용 사이의 관계에 대한 ㅡ 이론이다.기능주의자들은 언어와 사용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능주의자들은 언어를 지엽적으로, 그리고 정도성의 입장에서 설명하게 된다.형식주의자들처럼 인간이 내재적으로 지니는 언어에 대한 항구적 속성들을 찾고자 하거나맥락과 언어사용에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를찾고자 하지 않는다.따라서 문법화이론을 형식주의적 접근이 부정한다는 것을 굳이 그렇게 강력하게 주장하지 않아도 된다. 그것은 당연한 것이다.다만, 기능주의적 시각에서 문법화이론을 다루는 것을 갖고는 왈가왈부하지 말아야 한다.사람의 몸에 대해 연구하는 사람이 이를테면, 동물학자에게 앞다리를 팔로 부르기를강요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최근 근본.. 2006. 8. 5.
잊혀지기, 잊혀지기,역시 언어는 인간 정신을 아주 잘 보여준다.언어에는 문법화라는 게 있는데,가령, 조사 '까지'는 '끝'이라는 뜻을 갖고 있던 '갖'에 기원을 두고 있다,그러나 역사언어학자가 아닌 바에야, 누가 그 뜻을 기억할까,사람들은 '까지'를 마구 쓰지만, 그 본 뜻엔 관심이 없다,본 뜻은 잊혀진 거다, 자주 쓰이지만, 본 뜻은 아닌 본뜻은 많이 잊혀진 '한계'라는 추상적인 의미만이 남아 쓰이고 있다,사람도 그렇다,전부였던 사람이 조금은 중요한 사람이 되고, 다시 기억에 남는 사람이 되고, 결국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 된다.잘 생각해 보라, 어릴 적의 친구들 중에 분명 그런 사람들이 한둘은 존재한다,아니라고? 그건 당신의 기억에서 벌써 너무나 말끔히 지워졌기 때문이다,그런 인간의 정신을 닮았기에 언어에도 그런.. 2004.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