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산성2

HSK 17.1의 Productivity 항에 대한 비판 Jaap van Marle이 집필한 HSK 17.1의 생산성(Productivity) 항목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1) 생산성의 개념정의를 어떻게 하고 있는 것인가. "규칙이나 패턴으로 포착되는 형태론적 과정은 생산적이라고 한다."라고 그는 표현하고 있다. 그런데 규칙이나 패턴을 이루는지 알아내는 과정은 기존 자료에 대한 관찰을 통해 추출해내야 하는 것이다. 즉 규칙은 그런 해당 과정을 겪는 언어항목들이 일반화할만하냐에 따라 정의되는 것이다. (패턴은 사용기반문법에서는 정의가 다르므로 이 비판에 싸잡아 포함시킬 순 없다. 그러나 규칙론자들의 규칙과 동의어로서의 '패턴'은 이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생산성의 일반적 정의는 조건이 만족될 때 해당 패턴의.. 2010. 3. 17.
맥락의 확인과 변화의 진행 연결주의자의 언어로 말하면, 언어는 창발구조이다. 루디켈러의 말로, 혹은 사회과학의 언어로 말하면, 언어는 제 3의 현상이다.따라서 언어의 체계의 변화는예측될 수 없다. 언어는 의도한 행동들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구조체이다. 혹시 예측된 적이 있다면 그것은 우연일 뿐이다. 공시태와, 공시태의 시리즈로서의 통시태는결코 언어에 대해 이야기해 주지 않는다. 공시태와 통시태는 '기술'을 그 목적으로 가지는언어학의 이론일 뿐이다.그러므로 이런 모든 사실로부터 우리는 언어의 변화에 대해 한 가지만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다. 즉, 어떤 맥락에서 어떤 표현이 자주 쓰여 그 맥락의 의미를 가지게되었음을 증명하는 것은 그 변화가 이미 완료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그것이 확인된 이후에야,그과정을 살피는 것이.. 2007.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