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화6

담화의 규정과 화용론 및 문체론의 관계에 대한 단상 담화’의 규정에 대한 문제 1. 형식 : 문장 이상의 단위이다. 존재 : 추상적인 언어가 아니라 실제 언어사용에 의해 존재한다. 매체 : 발화로 표현된다. → 텍스트로도 존재할 수 있다. 언어 행위 그 자체 : 발화를 산출하는 심리적·사회적 환경까지 담화에 포함된다. 텍스트와 담화를 구분하기도 하지만, 별로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 가령 드라마 대본은 담화인가 텍스트인가. 2. 정확히 ‘담화’가 무엇인지는 이견이 존재하며, 이는 ‘담화’의 다양성 때문이 아니라, 언어학적으로 ‘담화’가 무엇인지 의견의 합치를 모으지 못했기 때문이다. 담화와 화용론과 문체론에 대하여 1. 조선어입말체연구의 구어체와 문어체의 구분과 화용론과 (기존의) 의미론의 구분은 나란해 보인다. 화용론(pragmatics)은 ‘.. 2008. 4. 24.
중의성의 새로운 지평 화행론에 의한 문제제기가 있기 전까지 언어학은 언어 그 자체에만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화행이론으로부터 화용론이나 사회언어학 등이 대두뫼면서 언어 그 자체만이 아니라 점차 언어를 둘러 싼 것을 이해하는 것, 즉 메타언어학적인 이해가 언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져 왔다. 가령 중의성의 문제만 해도 언어라는 행위를 보는 관점을 조금만 넓히면 더욱 사실적이고 현실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언어학의 대상을 문어에만 국한시키면, 특히 언어라는 것에만 한정 시키면, 언어학에서 중의성의 문제는 메시지의 중의성에 국한된다. 그러나 화자와 청자를 고려하면 전혀 새로운 국면을 만나게 된다. 화자는 의도적으로 중의를 의사소통이 이용할 수 있다. 화자가 의도하지 않았으나 청자가 중의적으로 이해할 .. 2008. 4. 24.
topic, theme, thematization, staging _ Brown & Yule의 담화분석에서 topic 화자나 필자가 품고 있는 것으로 하나의 토픽은 하나의 담화단락을 구성할 수 있다. 둘 이상의 토픽이 하나의 담화단락을 구성할 수는 없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하나의 토픽이 여러 글쓰기의 단락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토픽이 하나의 글쓰기 단락에서 표현되면 좋은 글이 아니라는 평가를 받는다. theme 한 담화단락 내에서 필자 혹은 화자가 다루려는 대상물, 혹은 생각 등. 중심소재(?) 정도로 번역하면 딱일 듯. 그래서 단락의 title(제목)은 theme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장치가 된다. 영어의 경우 문장의 첫 성분(constituent)가 theme이다. thematization / Staging 단락이나 단락들을 통해서 글 전체의 theme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정보가 공유되.. 2008. 4. 24.
담화, 중의성 화행론에 의한 문제제기가 있기 전까지 언어학은 언어 그 자체에만 관심을 가졌다.그러나 화행이론으로부터 화용론이나 사회언어학 등이 대두뫼면서언어 그 자체만이 아니라 점차 언어를 둘러 싼 것을 이해하는 것, 즉 메타언어학적인 이해가 언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져 왔다.가령 중의성의 문제만 해도언어라는 행위를 보는 관점을 조금만 넓히면더욱 사실적이고 현실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언어학의 대상을 문어에만 국한시키면, 특히 언어라는 것에만 한정 시키면,언어학에서 중의성의 문제는 메시지의 중의성에 국한된다.그러나 화자와 청자를 고려하면 전혀 새로운 국면을 만나게 된다.화자는 의도적으로 중의를 의사소통이 이용할 수 있다.화자가 의도하지 않았으나 청자가 중의적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화자가 .. 2007.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