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의 전환을 나타내는 어미 '-다가'가 후기중세국어에서부터 이미 존재하지만 그 축약형인 '-다'는 없다는 것이 국어사의 통념이다. 그러나, 세종프로젝트를 통해 구축된 말뭉치를, 깜짝새(SynKdp)를 이용해 검색한 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후기 중세국어의 예들이 발견된다.
(옛할글폰트를 까시면 깨진 글자가 보입니다. 혹은 복사하여 아래한글을 열고 붙이셔도 보입니다)
(ㄱ) 거우루 밧근 곧 正智ㅅ밧긔 方便을 셰여 邪와 正괘 서르 자며 德과 行괘 서르 熏야 오라아다 化야 邪正을 둘흘 닛과 뎨라 <능언7:15>
(ㄴ) 이런 變化 뵈오 神足 가다 도로 本座애 드러 안니라 <석상6:34>
(ㄷ) 出家야 大乘엣 들 發야 샹녜 조 뎍 다다 法師ㅣ 외샤 <석상13:30b>
(ㄹ) 貪嗔癡慢四使 論뎬 見修를 마가다 理事 迷니 <월석11:123b>
(ㅁ) 子細히 幻理 보건댄 幻 곡되라 그기 뵈아며 서르 라다 오매 리 가놋다 <능언2:7b>
(ㅂ) 金ㅅ 兵馬ㅣ 드리텨 오나 官軍이 라다 가며 쳐 가며 虜掠더니 <삼행_런,烈18>
(ㅅ) 아기 나 후에 아래 오랫 거시 밧긔 니드니디 몯 져젯 긔 졋 아니 나니 나다 결로 긔운 업스니 <구간,目錄8a>
(ㅇ) 니샤 一相이니 허디 아니타 니샤 我 업수믈 허다 아니 젼니 <원각,6,상2,2:100b>
(ㅈ) 喝 헥씨니 사 혜아료미 다 러다 긔우리틸 싸라 <몽산법_간,31b>
한편, 홍윤표(국어학3)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할 수 있다. 몇몇 첨사는 “체언+ -주격조사ㅣ +-첨사”의 형식으로 선행 주어를 특정한 의미를 추가한 주어로 만든다. 가령 ‘-이셔’, ‘-이’ 등이 그러한 예이다. 그런데 이들은 ‘-이라셔’, ‘-이라’ 등의 대응 쌍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라가’ 역시 존재한다. 이 ‘-라가’는 ‘-다가’의 이형태이다. 그리고 17세기에 등장한다고 알려진 주격 ‘-가’는 대체로 ‘이’ 모음이나 활음 ‘ㅣ’ 뒤에서 실현된다. 여기에서 ‘-다가’의 ‘-가’가 첨사일 가능성이 나온다. 따라서 어미 ‘-다가’의 축약형인 ‘-다’는 ‘-다2’로서 평서형이 아닌 새로운 어미로 상정될 가능성이 생긴다.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문제는 ‘-이라셔’나 ‘-이라’의 ‘라’가 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닌 것 같다는 점이다. 계사 뒤에 연결어미 ‘-아/어’가 실현될 때 ‘-라/러’로 실현되니까.
'Lingu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론 / 교재 읽기 (0) | 2008.03.18 |
---|---|
방각본 연대 (0) | 2008.03.14 |
주격 -가 / 이승욱, 진단학보51 (0) | 2008.03.09 |
Krebs 2006(엮인 글), 요약번역 by 채찍 (0) | 2008.03.08 |
identity / 웹스터 사전 정의 (0) | 2008.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