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

언어, 정체성 그리고 사회조직망

by 앎의나무 2008. 3. 8.

Hamers, J. F. and M. H. A. Blanc 1994. 2개언어상용과 그 이론. 이혜란 외 공역. 한국문화사. (Hamers, Josiane F. and Michel H.A. Blanc. 1989. Bilinguality and Bilingu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언어, 사회망 및 사회화 ; 언어는 어린이가 처한 환경에 따라 상이한 양상으로 제시되며 어린이가 속한 사회망 내의 주변 사람들에 의해 다양하게 여러 기능으로 사용된다. 사회망은 기능적이고 형식적은 언어모형들과 공유된 도식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어린이에게 언어와 언어사용자의 연관된 사회적 가치, 태도 및 인지체계를 전수한다. 103-104쪽

 긴밀한 망 구조는 언어를 유지와 느슨한 망구조는 언어의 전이와 연관된다. 104쪽

 어린이가 보다 넓은 집단간 관계로 얽힌 사회적 체계를 알게 되고, 그 체계 내에서의 그가 속한 공동체 및 사회망의 위치나, 언어 또는 언어 변이형에 부여된 기능의 가치나 지위에 대하여 알게 되는 것은 바로 사회망을 통해서이다. 언어 또는 언어행위 모형에 노출되는 것 또한 그가 속한 사회망의 환경을 통해서이다. 104

 사회화 과정을 통해 어린이는 언어와 관련된 사회의 가치 및 규범체계를 자신의 것으로 내재화하고 그 나름대로 언어의 사회적 표상을 구축한다. (Erikosn식으로 말해, 이 과정을 통해서 아이는 사회적 정체성을 확립한다. - 쟝) 사회화는 그가 빈번하고 중요하게 교류하는 사회망 내의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쓰는 언어는 그 아이가 그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일체감을 느끼게 하는 데에, 다소간의 차이가있지만, 중요하다. 어떤 특정 언어를 쓰는 것은 그 공동체의 사회적 표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105-107쪽


 

 문화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정의들을 살펴보면 언어는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167쪽

 문화 특성들은 상대적인 중요도를 가진다. (간혹 언어가 문화적 정체성에 있어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기도 한다.) 169-170쪽

 문화적 집단구성원이라는 개념은 사회적 정체성의 일부이다. 사람은 문화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는 사회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집단과 자신은 구분한다. 171쪽.

 만약 어떤 한 사회 집단이 민족적 문화적 혹은 언어적인 특성들에 의해서 식별될 수 있다면, 바로 이 특성들이 그 집단을 규정하는 가장 현저한 자질이 될 것이며 개인에 의해 그 자체로 민족적, 문화적 혹은 언어적인 범주화에 사용될 것이다. 173쪽.

 유년기의 다언어 경험으로 인한 개개인의 성과는 그 사람이 살고 있는 사회의 관념에 의존한다. 180쪽.

 언어가 민족(ethnic 혈족) 정체성의 두드러진 차원인 만큼 집단의 민족정체성을 유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한 상징으로써 뿐만 아니라 도구로써 서로 다른 문화가 접촉하게 되는 집단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222쪽.

 집단구성원들 스스로가 중요한 것으로 지각하는 그러한 차원들만이 바로 그 집단을 규정짓는 특성들이다. 이런 집단 정체성의 상징 및 도구로써 언어가 이용되기도 한다. 이디시어를 대신하여 히브리어가 이스라엘에서 부활 한 것이나, 퀘백의 불어 옹호 등은 그런 예이다. 225-229쪽

'Lingu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ebs 2006(엮인 글), 요약번역 by 채찍  (0) 2008.03.08
identity / 웹스터 사전 정의  (0) 2008.03.08
정체성 / 에릭 에릭슨  (0) 2008.03.08
언어와 권력 / 홍성민  (0) 2008.03.08
사회 연결망 이론  (0) 200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