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Essay

종결어미 '-으세요'의 형성과 화행의 편향적 관련, 형태론14-2, 184-207.

by 앎의나무 2014. 6. 28.

종결어미 '-으세요'의 형성과 화행의 편향적 관련, <형태론> 14-2 (2012.11), 184~207.



ABSTRACT

This paper is to show the biased engagement of certain speech acts in the formation of the honorific sentence ender -useyyo. In present-day Korean, while -useyyo can express three different speech acts: answer-request, action-request, and assertion, the environment in which -useyyo has been formed is the one with the answer-request speech act or the action-request speech act. Again, this procedure is deeply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enclitic yo, and with the enclitic’s usual speech act. The biased engagement of the two speech acts allows and propels the functional change of -useyyo from expressing deference for the subject to expressing politeness for the addressee since the subject and the addressee are frequently identical when the two speech acts happen at daily conversation. In terms of social class, the people using -useyyo has started from women, then expanded to the weak, and finally spread out up to all the society.


[초록]

본고는 종결어미 {-으세요}로 표현할 수 있는 의문·명령·평서(단언)의 세 가지 화행이 {-으세요}의 형성 과정에 편향적으로 관여함을 보인 것이다. 즉 의문과 명령의 화행이 {-으세요}의 형성을 주도했고 이 과정은 보조사 {}가 결합하는 문장이 보이는 화행의 편향성과 관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편향의 영향으로 {-으세요}는 청자대우법 어미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다. 즉 일상 대화의 명령문과 의문문에서는 문장의 주어가 청자인 상황이 빈번하여 주체존대가 청자존대로 재해석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이는 평서문을 중심으로 {--}의 대우 대상이 객체에서 청자로 변화한 것과 동궤의 현상이다. 사회언어학적으로 {-으세요}의 사용 계층은 사회적 약자 계층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거의 모든 계층으로 확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