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Bybee

What is the elegant description?

by 앎의나무 2007. 1. 7.

언어에 대한 우아한 기술은언어학자의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우아한 기술이 진실을 왜곡하면서까지 지켜져야하는 것인가.

어휘부의 구조에 대한 입장 가운데 최소한의 어휘와 최대의 규칙을 상정하는 입장은

아마도 가장우아하게 그리고 섬세하게 형태론을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언어 역시 인간의 인지활동의 하나라는 점에 이의를 달 수 없으므로

이런 입장을 고수하는 것은 언어에 대한 진실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

어휘부에 기록되는 것은 각각의 form이다.

기존 언어학자들 규칙이라 불렀던 것은 이런 form들의

빈도나 형태나 의미의 관계속에서 창발(emergent)된 것이다.

어떤 학자들(가령 하스펠마스, 2002, What is morphology : 43쪽)은

기술의 우아함이 결여되었다는 점을 내세워 form에 기초한 어휘부 기술을 부정적으로 소회하고 있다.

(물론 '생산성이 실재하므로 기술의 목적을 위해서는 어쨌든 규칙이 필요하다'는 변이 첨가되어 있긴하지만.)

하지만, word form에 기초한 어휘부 이론에 우아함이 결여되었다는 주장도 전제가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보통 이들이 말하는 기술의 우아함이란 공시태를 가정하는데,

공시태는 실재하지 않는다.

(공시태/통시태는 언어에 존재하는 성질이 아니라, 구조주의를 신봉하는언어학자의 가상적인 관점일 뿐이다.)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언어에는 공시란 존재하지 않는다.

(언어는 인간'들'을 전제하므로 사회적인 현상이다)

즉 언어는 항상 변화의 도상에 있다.

그런데 이런 항상 변화의 도상에 있는 언어에 대한 우아한 설명과 기술과 현상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word form에 기초한 이론이 rule에 기초한 이론들을 압도한다.

왜냐하면 rule은 언어의 변화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