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세국어9

중세국어 시상체계에서 고려해볼만한 것 ※ 15세기 어형은 작은 따옴표에, 현대의 의미는 중괄호에 나타냈다. 단 현대국어에 대응하는 어휘가 없는 경우 중괄호 안에 큰따옴표를 쳐 그 뜻을 풀이하였다. 읽었을 때 현대어와 어감이 많이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일 우측에 슬래시를 이용해 미국식 알파벳표기로 음가를 전사해 보았다.※ 아래아나 반치음 순경음 등이 들어간 음절은 괄호를 사용해 그 안에 알파벳으로 적었다. 거의 예외 없이 순경음과 반치음(예외가 몇 있다)은 초성에서만 쓰였다.→ 해당음절의중성자(중 하나인)ㅏ가 아래아임을 나타내기 위해 aa를, → 초성자 ㅅ이 반치음임을 나타내기 위해 z를, → 초성자 ㅂ이 순경음임을 나타내기 위해v를 사용하였다.1. 해라체 의문형 어미에서 보이는소위 원칙법 '-니-'와 추측법 '-리-'의 배타적인 분포.(.. 2006. 5. 10.
후기 중세국어 인칭대명사의 격형에 따른 성조변동 ※ 15세기 어형은 작은 따옴표에, 현대의 의미는 중괄호에 나타냈다. 단 현대국어에 대응하는 어휘가 없는 경우 중괄호 안에 큰따옴표를 쳐 그 뜻을 풀이하였다. 읽었을 때 현대어와 어감이 많이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일 우측에 슬래시를 이용해 미국식 알파벳표기로 음가를 전사해 보았다.※ 아래아나 반치음 순경음 등이 들어간 음절은 괄호를 사용해 그 안에 알파벳으로 적었다. 거의 예외 없이 순경음과 반치음(예외가 몇 있다)은 초성에서만 쓰였다.→ 해당음절의중성자(중 하나인)ㅏ가 아래아임을 나타내기 위해 aa를, → 초성자 ㅅ이 반치음임을 나타내기 위해 z를, → 초성자 ㅂ이 순경음임을 나타내기 위해v를 사용하였다.후기 중세국어에서 인칭대명사에 붙는 속격형태는 'ㅣ'로 주격형태와 동일하다.보통 1음절인 대명사.. 2006. 5. 10.
중세국어 한글 문헌 분류 중세 국어 한글 문헌은 그 특성에 따라 여섯 갈래 정도로 나눠 볼 수 있다.1. 악장 ; 제왕이나 부처의 업적을 찬양한 글.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이 해당된다. 용비어천가에는 한문가사가 있다. 2. 번안산문; 원문을번안한 글. 석보상절이나 월인석보 등이 해당된다. 석보상절은, 세종의 명으로 수양대군이 석가보를 짓고 이를(서문은 언해) 번안한 것이다.3. 언해; 구결문, 한문, 백화문 등의 원문을 직역에 가깝도록 우리말로 옮긴 글. 원문과 언해문이 같이 제시된다.4. 서간;한글로 적은 한국어 일기 편지5. 고려가요; 고려가요를 한글 창제 후 한글로 적어 정리한 글. 전기 중세국어의 특징과 후기 중세국어의 특징이 섞여 있다.____________________6. 협주; 번안이나 언해를 할 때, 번안자나 .. 2006. 5. 10.
15, 16세기의 사동사파생 중 특이한 한 가지. ※ 15세기 어형은 작은 따옴표에, 현대의 의미는 중괄호에 나타냈다. 단 현대국어에 대응하는 어휘가 없는 경우 중괄호 안에 큰따옴표를 쳐 그 뜻을 풀이하였다. 읽었을 때 현대어와 어감이 많이 다르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일 우측에 슬래시를 이용해 미국식 알파벳표기로 음가를 전사해 보았다.※ 아래아나 반치음 순경음 등이 들어간 음절은 괄호를 사용해 그 안에 알파벳으로 적었다. 거의 예외 없이 순경음과 반치음(예외가 몇 있다)은 초성에서만 쓰였다.→ 해당음절의중성자(중 하나인)ㅏ가 아래아임을 나타내기 위해 aa를, → 초성자 ㅅ이 반치음임을 나타내기 위해 z를, → 초성자 ㅂ이 순경음임을 나타내기 위해v를 사용하였다."사라(aa)다"와 "살이다"는 둘다 "살다"에 사동접사가 붙어 사동사로 파생된 것이다."사라(.. 2006.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