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화6

비평 : {왜}의 화용 기능 (김영란, 「한국어 의미학」6, 2000.) 의미론 공부모임, 2007-4-13, 김현주 발제비평 : {왜}의 화용 기능 (김영란, 「한국어 의미학」6, 2000.) Ⅰ 들어가며1. 이 논문은 소위 의문사 “왜”가 실제 담화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를, 즉 ‘왜’를 사용하여 화자가 청자에게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살피는 연구이다. 논문 제목에 ‘화용’ (pragmatic)이 쓰인 이유는 그러하다.2. 저자는 담화의 분석을 통해 “왜”를 사용하는 사람의 의도와 그에 따른 청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크게 세 가지로 “왜”의 기능을 분류하고 있다. 이 논문은 “왜”의 다양한 의미들의 구조를 파악하고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그러므로 이 논문은 저자도 시인하였듯이 “왜”의 의미들이 그런 구조를 가지게 된 이유나 과정에 대한 설명은 못하였다. 실상.. 2007. 4. 12.
담화 ‘담화’의 규정에 대한 문제 1. 형식 : 문장 이상의 단위이다.존재 : 추상적인 언어가 아니라 실제 언어사용에 의해 존재한다.매체 : 발화로 표현된다.→ 텍스트로도 존재할 수 있다.언어 행위 그 자체 : 발화를 산출하는 심리적·사회적 환경까지 담화에 포함된다.텍스트와 담화를 구분하기도 하지만, 별로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가령 드라마 대본은 담화인가 텍스트인가. 2. 정확히 ‘담화’가 무엇인지는 이견이 존재하며, 이는 ‘담화’의 다양성 때문이 아니라, 언어학적으로 ‘담화’가 무엇인지 의견의 합치를 모으지 못했기 때문이다. 담화와 화용론과 문체론에 대하여 1. 조선어입말체연구의 구어체와 문어체의 구분과 화용론과 (기존의) 의미론의 구분은 나란해 보인다. 화용론(pragmatics)은 ‘의미=사용.. 2007.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