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Essay10

양화사 '다'의 형성과 의미확장 현대국어 ‘다’는 전칭 양화사의 용법과 정도 부사의 용법, 그리고 선행 명사구에 “의외성”의 의미를 더해주는 용법을 가지고 있다. 전칭 양화사 ‘다’는 중세국어 {다아-}의 활용형 ‘다ㆍ아’가 ‘:다’로 형태화하면서 발달했다. ‘다ㆍ아’의 출현 환경은 국어의 양화사의 분포와 높은 빈도로 일치하였고 어휘 의미는 전칭 양화사로 발달하기에 적당했다. 정도 부사 ‘다’는 전칭 양화사 ‘다’로부터 발달한 것이다. 어떤 사건이 행위와 그 행위가 미치는 대상을 포함하고 사건이 진행되면서 그 행위가 대상에 일정한 방향으로의 변화를 야기하는 경우에 전칭 양화의 ‘다’는 완결을 나타내는 정도 부사로 발달할 수 있다. 대상의 변화가 모두 이루어지는 것이 해당 사건의 종료를 동반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의외성”의 ‘다’ 역시.. 2011. 10. 23.
'또는'의 형성 ‘또는’은 17세기 에 처음 등장하며, 일본어 ‘またわ’의 직역 표현이다. 초기에는 [거기에 더해], [그렇지 않더라도]의 용법으로 사용되며 사용 빈도가 미미하다. 개항 이후 급격하게 사용 빈도가 증가하며 [그렇지 않으면]의 용법을 가지게 된다. 「두견성」 같은 번안 소설들이나 이광수 등의 일본 유학의 경험이 있는 작자의 글에서부터 그런 변화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변화의 과정에서 일본어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듯하다. 그러나 ‘또는’의 기능 변화가 단절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또는’이 사용된 문례들을 살펴보면 기존의 용법과 현대적 용법으로 모두 읽힐 수 있는 연결 맥락적 용법의 증가와 현대적 해석의 증가 추이가 드러난다. 한편, 개화기의 ‘또는’의 용법이 얼마나 현대적인가는 작가가 누구인가에 따라.. 2009. 2. 28.
접속어 <하지만>의 형성 접속어 '하지만'의 형성 the evolutionary formation of the connective 'haciman'(though) (어문론집 39집(2008.9), 중앙어문학회, 23~39쪽.) 목차 1. 들어가며 2. 어미 '-지만' 3. 기원 4. 인용동사의 대용적 용법 5. 화행적 접속과 의미의 일반화 6. 요약 | 참고문헌 | Abstract 영어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modern korean concessive connective 'haciman', originated from the citation verbs 'ha-' plus the concessive ending '-ciman', came about historically. This pape.. 2009. 1. 28.
평안도 서해안 방언의 지칭어 호칭어 연구 [공동연구] 양오진, 황대화, 김현주 2008, 평안도 서해안 방언의 지칭어 호칭어 연구, 語文硏究 138號, A Survey on Referring Terms and Address Terms of Western Coastal Dialects of Pyeongan-do -Especially of Yongcheon and Uiju, and Mundeok and Anju pp. 117~143 한국어초록 本稿의 目的은 다음의 셋이다. 1) 韓半島 北西 海岸에 位置한 두 地域의 指稱語와 呼稱語들을 整理하여 紹介하고, 2) 이 두 地域 方言의 資料들을 簡略하게나마 比較하고, 3) 이 地域의 指稱語와 呼稱語들을 그간 報告된 先行 硏究의 資料와 對照할 것이다. 이 가운데 가장 重要한 것은 旣存에 알려지지 않은 이 地域의 指稱語와.. 2008.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