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guistics/Essay

主語 標識 {-께서}의 形成에 대하여

by 앎의나무 2014. 6. 30.

김현주(2013) 主語 標識 {-께서}의 形成에 대하여 <어문연구>(어문교육연구회) 41, 133-59.


主語 標識 {-께서}의 形成에 대하여


이 論文은 現代國語 主語標識 가운데 增者가 主語일 때 比較的 義務的으로 쓰이는 {-께서}의 通時的 形成過程을 살핀 것이다. {-께서}의 成立 以前에 쓰이던 增者主語標識는 增者가 {-겨압셔}, {-겨오셔} 등이었다. 開港期에 들어 새로운 장르의 자료를 중심으로 갑자기 {-께서}가 增者主語標識로 一般化해 쓰이기 시작했고, {-겨압셔}, {-겨오셔} 등은 갑자기 사라졌다. 그런데 짧은 기간이기는 하지만 19세기 말부터 1900년대 초기의 문헌들에서 `-긔읍셔`, `끠압셔` 등 獨特한 形式의 增者主語標識가 出現한다. 이들은 현대국어 {-보고}와 {-더러}가 混淆하여 새롭게 등장한 {-보러}를 떠오르게 한다. 본고는 기존의 增者主語標識인 {-겨압셔}, {-겨오셔} 등이 새롭게 增者主語標識로 발달하던 {-끠셔}와 混淆되면서 그러한 독특한 형식들이 출현했으며 이들이 `-께서`로 合流한 것으로 보았다.





Blending as the mechanism by which –kkeise, one of Korean subject markers subject markers has been forme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honorific subject maker –kkeise (-께서) has been formed from the Middle Korean honorific ablative marker –skuysye (-ㅅ긔셔). Before -kkeise has become the Contemporary Korean honorific subject marker, the same function had been performed by –kyeosye (-겨오셔).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kkeise (-께서) has appeared out of blue. Though it was very short period of time, there were some examples that looked like mixtures of the two, ie, -skuysye (-ㅅ긔셔) and –kyeosye (-겨오셔). With more detailed exploration of Sejong Corpus for historical Korean,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kkeise (-께서) has appeared via blending processes between the newly emerging honorific marker –skuysye (-ㅅ긔셔) and the older honorific subject marker –kyeosye (-겨오셔).